
사실 이클립스에 있는 git 기능 써도 되는데 .. 그냥 깃배쉬 써보고싶어서 함 다른자료 안보고 걍 내맘대로 한거라 틀릴수있음.. 1. 깃허브에 레포지토리 만들기 .. 생략 2. 로컬 저장소에 git 만들기, 연결 1) 저장소 만들곳을 탐색기로 켜서 우클릭->git bash here 2) 뜨는 커멘드창에 git init -> 이 디렉터리를 깃으로 관리하겠다는뜻 3) git remote add origin [저장소 주소] -> 원격 저장소(깃허브) 와 로컬 저장소(내컴) 을 연결함 4) git pull -> 원격 저장소 내용을 로컬로 불러온다 5) git checkout main -> master로 되어있으면 main으로 옮겨야함 ㅋ 3. 이클립스에서 프로젝트 불러오기 좌측 프로젝트 explorer에서 우..

깃허브에서 레포지토리를 만들고 gitbash를 이용해서 git init도 하고 remote add 까지 해서 연결했다 그 뒤 git pull을 했는데 레포지토리에 있는 파일들이 안받아와지면? 지금 브랜치가 master브랜치가 아닌지 확인할것 ㅋ.. 1. git init -> 지금 디렉터리를 깃으로 관리하게 된다 2. git remote add origin [저장소 주소] -> 원격 저장소(깃허브) 와 로컬 저장소(내컴) 을 연결함 3. git pull -> 원격 저장소 내용을 로컬로 불러온다 이 상태에서 원격에 있던 readme가 안받아와졌음ㅋ 잘보니 지금 브랜치가 master임ㅋㅋ 4. git checkout main -> main으로 이동 네.. 실험삼아 readme 조금 수정해보고 올리겠음 git ..

fork는 남의 레포지토리를 내 레포지토리로 복붙하는 기능이다 Fork 하기 fork할 레포지토리로 이동해서 위 사진에 표시된 부분에서 화살표 말고 Fork라고 적혀있는 부분을 클릭한다 create fork를 클릭한다 이후 내 레포지토리에 포크받은 레포지토리가 있나 확인한다 fork된 브랜치는 원본의 main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변경사항 내 레포지토리에 반영하기 원본 레포지토리에 변경이 발생하면 내가 fork한 레포지토리에도 반영을 하고싶을수 있음 그럴땐 내 레포지토리에 가서 위 이미지대로 Sync fork를 클릭하면 됨 Pull request pull request는 원래 레포지토리에 내가 만든 코드를 올리고 싶을때 쓴다 pull request전까진 내가 포크했던 내 레포지토리에만 변경사항이 적용된다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