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fork는 남의 레포지토리를 내 레포지토리로 복붙하는 기능이다
Fork 하기

fork할 레포지토리로 이동해서 위 사진에 표시된 부분에서 화살표 말고 Fork라고 적혀있는 부분을 클릭한다

create fork를 클릭한다
이후 내 레포지토리에 포크받은 레포지토리가 있나 확인한다
fork된 브랜치는 원본의 main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
변경사항 내 레포지토리에 반영하기
원본 레포지토리에 변경이 발생하면 내가 fork한 레포지토리에도 반영을 하고싶을수 있음

그럴땐 내 레포지토리에 가서 위 이미지대로 Sync fork를 클릭하면 됨
Pull request
pull request는 원래 레포지토리에 내가 만든 코드를 올리고 싶을때 쓴다
pull request전까진 내가 포크했던 내 레포지토리에만 변경사항이 적용된다
pull request후 원본 레포지토리의 관리자가 승인하면 내 코드가 원본 레포지토리에 반영된다
이부분은 다음에 이어서 쓰겠음
-참고사이트
Git fork와 clone 의 차이점
Forking a Repository - How to Use Git and GitHub 내용을 참고했습니다. fork fork는 다른 사람의 Github repository에서 내가 어떤 부분을 수정하거나 추가 기능을 넣고 싶을 때 해당 respository를 내 Github repository로
velog.io
https://github.com/gdgand/ComposeCamp2022-for-Beginners
GitHub - gdgand/ComposeCamp2022-for-Beginners
Contribute to gdgand/ComposeCamp2022-for-Beginners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.
github.com
'공부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클립스, gitbash 사용하기 (0) | 2023.02.12 |
---|---|
깃허브 gitbash 연동안될때, 안 받아와질때 (0) | 2023.02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