
제시된 문제를 코틀린으로 구현, 코틀린을 연습한다 1. 모바일 알림 문제 알림이 100개 미만이면 정확히 알림이 몇갠지 표기, 100개 넘으면 99+로 표기한다 fun main() { val morningNotification = 51 val eveningNotification = 135 printNotificationSummary(morningNotification) printNotificationSummary(eveningNotification) } fun printNotificationSummary(numberOfMessages: Int) { // Fill in the code. } 위의 기본코드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결과가 출력되도록 하라 fun main() { val morningNotific..

-공부하면서 작성한 포스팅이라 틀린부분 있을수있음- 변수에 함수 저장 1. 함수는 변수에 저장될수있다(함수 참조 연산자 ::) 실제 함수가 변수에 저장되는지 실험하였다. 위 처럼 하면 에러가 발생한다 2번 라인에 trick 이 아니라 trick() 을 적게되면 함수가 저장되는게 아니라 실행된다 컴파일러가 trick을 함수의 이름으로 인식했지만 함수가 호출되어야 하는것 아닌가? 라고 예상해서 trick() 을 적으라는 에러가 생긴것임 함수를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함수 참조 연산자인 :: 을 사용한다 사용법은 :: 뒤에 함수이름을 적는다 trickFunction() 을 하면 trick함수 호출된다 2. 람다 표현식을 사용하여 함수 재정의 람다 표현식은 fun 키워드 없이 함수를 정의하고 함수 참조(위에서..